향수 - 정지용 (한국대표시인 시선 5)
<정지용 - 향수 (1927년)>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조름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 빛이 그립어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든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의와
아무러치도 않고 여쁠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안해가
따가운 해ㅅ살을 등에지고 이삭 줏던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하늘에는 석근 별
알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집웅,
흐릿한 불빛에 돌아 앉어 도란 도란거리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조선지광, 65호 (1927.3), 13-14쪽)
<작품해설>
지용은 휘문학교를 다니기 시작한 이후 다시는 고향에 돌아가 살지 못했다. 방학 중에 잠깐씩 들르기는 했지만 언제나 타향에서 고향을 그리면서 생애의 대부분을 살았다. 평생 그의 마음속에는 언제나 고향으로 향하는 마음이 자리 잡고 있었을 것이다. 처음으로 조국을 떠나 일본으로 유학을 갔던 시기는 떠나온 조국과 고향을 그리는 마음이 더욱 간절했을 것이다. <향수>는 일본에 유학하고 있던 시절 지용이 조국과 고향을 잊지 못하는 절절한 마음을 탁월하게 형상화한 작품으로 지용의 성가를 높인 역작이다. 현실적으로는 가난하고 초라한 고향은 이를 회고하는 화자의 읊조림을 통해 풍요로운 상상의 고향으로 되살아난다.
지용은 이 시에서 언어의 섬세한 조탁과 절묘한 이미지 구사 그리고 음악적 율조미 등을 가미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저절로 고향을 그리는 마음에 젖어들게 만드는 시적 공감을 발휘한다.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과 "엷은 졸음에 겨운" 그리고 매연에 반복되는 후렴구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등이 하나로 어우러져 독자들에게 호소하는 시적 효과를 드높인다. (p.190-216)
<정지용 - 바다2 (1927년)>
한 백년 진흙 속에
숨었따 나온 듯이,
게처럼 옆으로
기여가 보노니,
머언 푸른 하늘 알로
가이 없는 모래 밭.
(조선지광, 64호,(1927.2), 98쪽)
<정지용 - 산너머저쪽 (1927년)>
산넘어 저쪽 에는
누가 사냐?
뻐꾹이 영우 에서
한나잘 울음 운다.
산넘어 저쪽 에는
누가 사냐?
철나무 치는 소리만
서로 맞어 쩌 르 렁!
산넘어 저쪽 에는
누가 사냐?
늘 오던 바늘장수도
이봄 들며 아니 뵈네.
(신청년, 5권 5호 (1927.5), 4-5쪽)
...............................................................................................................................................................................................................................................................
정지용(鄭芝溶, 1902년 6월 20일 ~ 1950년 9월 25일)
대한민국의 대표적 서정시인이다.
고향에서 초등 과정을 마치고 서울로 올라와 휘문고등보통학교(徽文高等普通學校)에서 중등 과정을 이수했다.그리고 일본으로 건너가 교토[京都]에 있는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귀국 후 곧바로 모교인 휘문고등보통학교 교사로 근무하다가 8·15광복과 함께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부 교수로 옮겨 문학 강의와 라틴어를 강의하는 한편, 천주교 재단에서 창간한 경향신문사의 주간을 역임하기도 했다.그리고 무슨 까닭인지 확인된 바 아니나, 이화여대 교수직과 경향신문사 주간직은 물론, 기타의 공직에서 물러나 녹번리(현재 은평구 녹번동)의 초당에서 은거하다가 6·25 때 납북된 뒤 행적이 묘연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최근 평양에서 발간된 「통일신보」(1993.4.24., 5.1., 5.7.)에서 가족과 지인들의 증언을 인용해 정지용이 1950년 9월경 경기도 동두천 부근에서 미군 폭격에 의해 사망했다는 사실을 보도하기도 했다.정지용의 행적에 대한 갖가지 추측과 오해로 유작의 간행이나 논의조차 금기되다가 1988년도 납·월북작가의 작품에 대한 해금 조치로 작품집의 출판과 문학사적 논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시단 활동은 김영랑(金永郞)과 박용철(朴龍喆)을 만나 시문학 동인에 참여한 것이 계기가 되어 본격화된다. 물론 그 이전에도 휘문고등보통학교 학생 시절에 요람동인(搖籃同人)으로 활동한 것을 비롯하여, 일본의 유학 시절 『학조』·『조선지광』·『문예시대』 등과 교토의 도시샤대학 내 동인지 『가(街)』와 일본시지 『근대풍경( 近代風景)』(北原白秋 주간)에서 많은 작품 활동을 하였다.이런 작품 활동이 박용철과 김영랑의 관심을 끌게 되어 그들과 함께 시문학동인을 결성하게 되었다. 첫 시집이 간행되자 문단의 반향은 대단했고, 정지용을 모방하는 신인들이 많아 ‘지용의 에피고넨(아류자)’이 형성되어 그것을 경계하기도 했다. 아무튼 그의 이런 시적 재능과 활발한 시작 활동을 기반으로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과 함께 『문장(文章)』 지의 시부문(詩部門)의 고선위원(考選委員)이 되어 많은 역량 있는 신인을 배출하기도 했다.신인을 추천하는 과정에서도 자신의 시만큼 갈고 다듬고 하여 ‘대성(大成)의 영광(榮光)’을 함께 나누려는 자세로 임했다 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문장』지를 통해서 추천한 박두진(朴斗鎭)·조지훈(趙芝薰)·박목월(朴木月) 등 청록파(靑鹿派)를 위시하여 이한직(李漢稷)·박남수(朴南秀) 등이 후에 펼친 시작 활동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그 동안 우리는 정지용의 시적 특색에 대한 논의를 언어의 감각미 이미지의 공간적인 형상화에만 한정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정지용의 시가 주제, 곧 내용이나 사상성이 배제되고 단순히 ‘모더니즘’이라는 문학사조적인 지평(地平)에서 진단해 왔기 때문에, 그의 삶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시적 속성을 잘 살피려 하지 않았다.단순히 모더니즘이나 이미지즘의 차원에서만 논의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어느 작가이든 자신의 문학적 체험이 제한된 공간에만 고정되고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할 때, 정지용의 시작 과정도 어느 하나의 공간이나 체험으로 국한된 범주로만 해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시적 변모(變貌)를 시도한 통시성(通時性)의 원리와 구조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그러면 정지용의 시작 전반을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해서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다’ 시편들을 포함한 전기시작에서 한 사물의 감각적 인상이나 공간성의 이미지를 특색으로 들 수가 있다. 이들 시작들이 지니는 감각성과 공간성, 이런 시적 속성들이 반드시 표현적인 차원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사물의 깊이를 투시(透視)하는 시인의 시적 체험은 훨씬 깊이 자리하고 있다.그 새로운 시어나 이미지로 하나의 사물을 재창조한다고 할 때, 그 사물의 깊이를 투시하여 실체(實體)를 파악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바다’로 향하는 정지용의 시적 상상력은 그 깊이에 자리한 생명의 신비성(神秘性)을 추구하는데 있고, 나아가서 이런 깊이의 시적 체험은 그의 신앙 시편들에서도 같은 맥락이다.‘나무’의 직립성(直立性)이나 ‘불’과 ‘태양’의 이미지로 형상화된 그의 성신(聖神)으로 향하는 상승작용은 물론, 인간의 온갖 고뇌(苦惱)를 녹이려는 종교적 신앙의 열도(熱度)를 ‘불’로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산’의 시편들로 구성된 『백록담』에 이르러서는 그 전기 시에서 보인 심혼(心魂)의 갈등과 동요와는 전혀 다른 정밀(靜謐)한 화평(和平)의 시세계를 보이고 있다자기소멸과 일체의 세속적인 것에서 일탈(逸脫)하여 자연으로 되돌려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 무화(無化)시키고 ‘지인무기(至人無己)’의 경지에 이르러 있는 소박하고 원초적(原初的)인 ‘삶’을 영위하는 그런 마음의 자세를 보이고 있다.이상 정지용의 시세계를 통시적 차원에서 두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한마디로 정지용은 우리 근대시사에서 하나의 큰 봉우리라 할 수 있다. 1920년 대 초의 외래 문학사조의 영향을 받아 문예사조의 혼류현상(混流現象)을 이루고 있었다면, 그 중엽에 등장한 정지용은 우리의 목소리를 가다듬어 노래한 것이다.우리말의 세포적 기능(細胞的 機能)을 추구하여 그 속성을 파악하고 언어의 감각미(感覺美)를 개척한 시인으로 1930년대 한국 시단을 주도해갔다. 유작으로는 『정지용시집(鄭芝溶詩集)』(시문학사, 1935)·『백록담(白鹿潭)』(문장사, 1941) 등 두 권의 시집과 『문학독본(文學讀本)』(박문서관, 1948)·『산문(散文)』(동지사, 1949) 등 두 권의 산문집이 있다.산문집에는 「수수어(愁誰語)」·「다도해기(多島海記)」·「화문행각(畫文行脚)」 등과 같은 수필류와 시론(詩論) 및 기타 역시(譯詩)와 일반 평문 등으로 편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이들 단행본에 실리지 않은 시작과 산문의 상당수가 집성되어 1988년 민음사에서 시집과 산문집으로 구분하여 전집(全集)이 간행되었다.
........................................
향수 - 정지용 (애플북스)
향수 - 정지용 (민음사)
..........................................
'I. 한국 문학 > 3.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 유하 (문학과지성사) (0) | 2023.03.21 |
---|---|
사평역에서 - 곽재구 (창비) (0) | 2023.03.19 |
사슴 - 노천명 (미래사) (0) | 2023.02.05 |
김소월 시집 - 김소월 (범우사) (2) | 2023.02.01 |
이육사의 시와 산문 - 이육사 (범우사) (1) | 2023.02.01 |